전남 중환자실 사망률 70%…“새로운 중환자 체계 고민해야”
대한중환자의학회, 중환자 전문의·간호사 양성, 1인실 확대, 표준화 치료 정착 등 필요
유시온 기자 | 입력 : 2024/09/05 [10:48]
【후생신보】 지속가능한 중환자의료 체계를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중환자 전문의와 간호사를 양성하고 1인실을 확대하며, 근거 중심의 표준화 치료를 정착시켜야 한다는 제언이다.
대한중환자의학회가 주관한 중증·응급환자 중심 중환자실 진료체계 개편방안 토론회가 9월 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발제자로 나선 김임경 연세의대 외과 교수(중환자의학회 기획간사)는 국내 중환자실 진료체계 현황을 공유했다.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연구에 따르면, 중환자실 이용자는 꾸준히 늘고 있다. 2008년 21만명 수준이던 연간 이용자는 매년 증가해 2018년 30만명에 육박했다. 반복되는 감염병과 수명 연장 등에 따른 증가세다.
특히 병원이 작고, 지방에 있을수록 사망하는 중환자 비율이 높았다. 중환자실 사망률은 지역별로 매우 큰 격차를 보인다. 2017년 연구 결과, 전라남도는 70%를 초과하는 중환자실 사망률을 기록한 반면, 서울은 36% 수준이다. 병원 규모에 따른 사망률 편차도 컸다. 상급종합병원 15%, 종합병원 20%, 병원 30%다.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에서도, 수도권 병원은 20%가 넘게 1등급을 받은 반면, 영남 병원은 50%가 3~5등급을 받았다.
지역, 병원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중환자 치료 성과를 개선하려면 ▲중환자의학 세부전문의 양성(1~2년 과정) ▲중환자 전문 간호사 육성 ▲1인실(격리실) 확대 ▲근거 중심의 표준화 치료 정착이 요구된다. 근거 중심의 표준화 치료는 인력과 시설·장비 표준화로, 학회는 이를 통해 지역별, 병원별 치료 성적 편차를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현재 학회에서는 “제도와 수가체계와 상 돈이 안 되는 중환자실에 투자할 병원은 없다”며 행위별 수가체계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조재화 대한중환자의학회장은 “국내 중환자 의료는 후진국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1인실에 많은 의료진이 근무하는 선진국 중환자실과 달리 우리나라는 개방된 공간에 침대는 다닥다닥 붙어있고, 부족한 의료진은 많은 환자를 보느라 바쁘다”고 말했다.
주최자인 김윤 의원은 “중환자실 문제는 단순히 병상수나 시설 규모에만 있지 않다”며 “인력과 시설, 장비, 새로운 수가 체계를 포함한 전반적인 시스템 문제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후생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