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덕 병원장, 코로나19 백신 2차․부스터샷 서둘러야두 달 간 1,270명 환자 재택 치료 센터 운영…사망자나 응급 이송 환자 단 일명도 無【후생신보】하나이비인후과병원이 두달 간의 코로나19 재택치료를 충실히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하나이비인후과병원(병원장 이상덕) 안팎에 따르면 하나이비인후과병원은 지난해 11~12월 두 달 간 코로나19 환자 재택 치료센터를 운영했다. 운영 결과 전체 환자 1,269명 가운데 사망자나 응급 이송 환자는 한 명도 없었다.
하나이비인후과병원이 관리한 재택 환자 수를 보면 11월 298명에서 11월 1,269명까지 급증, 모니터 대상 환자도 같은 기간 225% 폭증했다.
그럼에도 불구 96.7%에 달하는 1,227명(11월 278명, 12월 949명)이 치료를 마치고 건강하게 일상으로 복귀했다.
코로나 전담 병원으로 전원된 환자는 총 42명(11월 20명, 12월 22명). 증세가 심각하지 않지만 인후통, 기침, 발열 등의 증상이 3일간 호전되지 않아 매뉴얼에 따라 전원된 환자가 35명(11월 17명, 12월 18명) 이었고 나머지는 어린 자녀에게 전원 사유가 발생해 어머니가 자진해서 함께 전원한 경우 등 이었다.
전원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 여부를 조사한 결과 아예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거나 1차 접종만 한 경우가 전체의 67%인 24명(미접종 22명, 1차 접종 2명)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접종을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른바 돌파감염의 경우도 25%에 달했다.
전원된 환자들 중 처음 증상 발현시부터 전원 진단이 내려지기까지 걸린 기간은 일주일 이상이 17명으로 가장 많았고 4일 이상 ~7일 미만이 15명으로 뒤를 이었다.
전체 환자 가운데 재택치료를 받는 기간 동안 같이 거주하던 다른 가족이 확진된 경우는 전체의 21%인 270명(11월 27명, 12월 243명)이었다.
가족이 같은 날에 동반 확진을 받았거나 재택치료가 시작된 뒤 3일 이내에 가족 추가 확진자가 나온 사례가 대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 경우 재택치료가 시작되기 전 가족 구성원이 이미 감염돼 있었던 것이라는 게 병원 측 판단. 재택치료 기간 중 가족 간 감염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3%에 그쳤다.
하나이비인후과병원 이상덕 병원장은 “지난 2개뭘 재택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거의 대부분 건강하게 일상으로 복귀했으며 전담 병원으로 전원된 환자들 가운데도 상태가 갑자기 악화되거나 사망한 경우는 한 건도 없었다”면서 “오미크론의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재택치료를 보다 확산, 정착시키는 게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상덕 병원장은 특히 “돌파감염이 상당 수 일어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감염자의 대다수는 백신접종을 완료하지 않는 환자들이기 때문에 2차 접종과 부스터샷 접종을 서두르는 것이 감염 가능성을 줄이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저작권자 ⓒ 후생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상덕 회장, 하나이비인후과병원, 코로나19, 재택 치료 센터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