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신장 전문의, 연명치료 중단 고려 시 투석치료 중단 긍정적

신장학회 회원 369명 설문조사 결과, 86% 이상 유보·중단 찬성…진료지침 개정 추진

이상철 기자 kslee@whosaeng.com | 기사입력 2021/02/15 [17:19]

신장 전문의, 연명치료 중단 고려 시 투석치료 중단 긍정적

신장학회 회원 369명 설문조사 결과, 86% 이상 유보·중단 찬성…진료지침 개정 추진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1/02/15 [17:19]

【후생신보】  신장내과 전문의 86%는 연명치료 중단 고려 시 투석치료 중단 또는 유보에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한신장학회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진료지침 개정을 추진키로 했다.

 

대한신장학회(이사장 양철우 가톨릭의대)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약칭: 연명의료결정법 )에 따른 연명의료 중단 결정 시 투석치료의 유보 또는 중단에 대해 신장내과 의사들의 인식 및 견해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신장학회 회원 369명이 응답한 설문조사에서 신장내과 의사들은 연명의료로서의 혈액투석은 유보 또는 중단할 수 있다고 평가해 향후 혈액투석과 관련된 연명의료 결정에 있어 중요한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0%는 연명의료결정법을 알고 있었으며 혈액투석이 연명의료에 해당하는 것을 잘 알고 있는 전문의도 82.9%나 됐다.

 

또한 혈액투석이 연명의료에 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의견이 75.6%였다.

 

특히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말기 또는 임종기 환자에서 투석을 유보(87.3%)하거나 중단(86.2%)하는 것에 대해서도 찬성하는 의견이 많았다.

 

연명의료 중단 고려 시 투석치료를 중단하거나 유보하는 조건으로는 ▲혈액투석을 견디기 어려운 상태(투석 불내성, 84.3%) ▲심각한 신체기능 저하(74.8%) ▲환자의 적극적인 투석거부(47.2%) ▲고령(28.7%) ▲심각한 치매(27.1%) 및 동반된 전신질환(16.5%) 순으로 꼽았다.

 

또한 말기신부전 환자가 말기 혹은 임종기가 되었을 때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받는 데 대해서는 58.3%의 응답자가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는데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시설확보, 진료지침의 개발 및 충분한 진료 시간이 확보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가톨릭의대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말기 또는 임종기 환자에서 투석치료의 유보 또는 중단에 대한 신장내과 의사들의 의견이 처음으로 심도 있게 파악되어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진료지침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신장학회 산하 노인신장병연구회 신성준(동국의대 일산병원) 회장은 “혈액투석 환자를 포함한 말기신부전 환자가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말기 또는 임종기가 되었을 때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받는데 필요한 제도적 준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대한신장학회 협동연구과제로 이루어 졌으며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에 온라인으로 발표됐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