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에 ‘새 희망’

표적치료제+항암제 치료, 항암치료 보다 무진행 생존기간 두 배 증가
서울아산병원 김성배 교수팀, 다국적 임상 결과 ‘란셋 온콜로지’ 게재

이상철 기자 | 기사입력 2017/08/21 [14:28]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에 ‘새 희망’

표적치료제+항암제 치료, 항암치료 보다 무진행 생존기간 두 배 증가
서울아산병원 김성배 교수팀, 다국적 임상 결과 ‘란셋 온콜로지’ 게재

이상철 기자 | 입력 : 2017/08/21 [14:28]
▲ 김성배 교수

【후생신보】 난치성 유방암인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의 새로운 표적치료제의 효과가 입증됐다.

 

특히 표적치료제와 항암제를 병합해 치료하면 기존 항암치료보다 무진행생존기간(암 치료 후 암이 새롭게 진행(악화)하기 전까지의 기간)이 두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다.

 

호르몬이나 유전자(HER2)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삼중음성유방암은 지금까지는 항암치료 외에는 다른 치료방법이 없었다. 또한 항암제에 일부 반응하더라도 재발이 많고 암의 진행이 빨라 무진행 생존기간이 평균 6개월 미만일 정도 치료가 어려운 암이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김성배 교수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프랑스 등 8개국 44개 병원이 참여한 다기관 국제 연구를 통해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에서 AKT 표적치료제의 효과를 연구한 결과, 기존 항암제로만 치료한 환자보다 무진행 생존기간이 2배 증가하는 획기적인 치료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그동안 항암치료 외에는 표적치료 방법이 없었던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치료 분야에서 AKT 표적치료의 효용성을 처음으로 입증한 것으로 세계 3대 임상 암 연구 관련 의학저널 란셋 온콜로지(Lancet Oncology, IF 33.9)’ 최신호에 게재됐으며 전세계 의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유방암은 여성 호르몬과 관련이 있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이 전체 유방암의 약 60-70%를 차지하고 있으며 HER2 특이 유전자 증폭과 관련된 HER2 유방암이 20%, 호르몬이나 HER2 유전자 증폭과 관계없이 유방암이 발생한 삼중음성유방암이 그 나머지 15-20%를 차지한다.

 

지금까지 삼중음성유방암 치료를 위해 암 성장에 중요한 신호경로를 차단하는 약제를 이용한 임상시험이 있었으나 효과가 좋지 않았고 최근 면역치료제, DNA 손상시 복구와 관련된 PARP 억제제가 일부 제한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아직도 치료에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

 

이에 김 교수팀은 항암치료 후 1년 이내에 재발된 삼중음성유방암 환자들에게 암 세포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신호경로 중 하나인 AKT를 억제하는 약제(이파타설팁 Ipatasertib)를 이용한 무작위 임상 2상 연구를 진행했다,

 

20149월부터 20162월까지 8개국 44개병원에서 124명의 삼중음성유방암 환자들 중 62명에게는 표적치료제(AKT 억제제)와 항암치료제(paclitaxel)를 함께 병합해서 치료했고 대조군인 62명의 환자들에게는 항암치료제만으로 치료를 시행한 결과, 평균 무진행 생존기간이 병합치료군은 6.2개월이었고 항암제 치료만 받은 군은 4.9개월이었다.

 

또한 전체 삼중음성유방암 환자들 124명 중 차세대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PI3K-AKT-mTOR 신호경로의 이상이 있는 환자들만 선별했는데 병합치료를 받은 군에서는 26, 항암치료만 받은 군에서는 16명으로 총 42명이었다.

 

이들 42명 중 항암치료제로만 치료받은 환자 16명의 평균 무진행 생존기간은 4.9개월이었지만 표적치료제와 항암치료제를 병합한 환자 26명에서는 평균 9개월로 나타나 표적치료제를 투여한 환자에서 무진행 생존기간이 2배 정도 길었다.

 

특히 표적치료제를 투여한 환자들에서 치료 약제로 인한 대표적인 부작용은 설사였고 사망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번 다국적 연구의 교신저자인 김성배 교수는 우수한 치료약제가 부족한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에서 AKT 표적치료제의 효용성을 세계 처음으로 입증한 연구라며 특히 치료 전에 차세대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PI3K-AKT-mTOR 신호경로의 이상이 있는 유방암 환자를 선별할 수 있고 이러한 환자 군에서 AKT 표적치료의 효과가 탁월해 무엇보다 적합한 환자를 선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교수는 “3상 임상연구에서는 더 많은 삼중음성유방암 환자들에서의 치료효과를 입증하고 더불어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들에서도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 교수팀은 향후 3상 임상시험을 통해 삼중음성유방암 뿐만 아니라 전체 유방암 환자의 60-70%를 차지하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서도 AKT 억제제의 효과에 대해 추가 3상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