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뇌졸중 후 장해 악화…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진다

분당서울대병원 백남종 교수팀 조사 결과, 이동 어려움 및 불안‧우울 16% 넘어
‘장해 악화’ 경험 뇌졸중 후 6개월째 가장 높아…장기적인 모니터링과 협진 필요

이상철 기자 | 기사입력 2020/11/18 [09:21]

뇌졸중 후 장해 악화…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진다

분당서울대병원 백남종 교수팀 조사 결과, 이동 어려움 및 불안‧우울 16% 넘어
‘장해 악화’ 경험 뇌졸중 후 6개월째 가장 높아…장기적인 모니터링과 협진 필요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0/11/18 [09:21]

▲ 백남종 교수                                          ▲ 김원석 교수

【후생신보】  뇌졸중을 겪은 환자들은 통증이나 근골격계 문제, 또는 환경 변화로 인해 목욕을 하거나 외출을 하는 것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때로는 불안 및 우울한 감정을 호소하기도 하고 근육이 긴장되고 뻣뻣함을 느끼는 경직 증상이 점점 더 심해지기도 한다.

 

이렇게 뇌졸중 후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과 문제가 악화되는 것을 두고 ‘주관적 악화’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주관적 악화는 뇌졸중 발생 후 1년, 혹은 그 이후 까지 나타날 수 있어 뇌졸중 환자가 경험하는 주관적 악화 증상들에 대해 파악하고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닌지 모니터링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나 삶의 질에 있어서도 중요한 수단이 된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백남종 교수팀(김원석)은 뇌졸중 환자에서 나타나는 주관적 악화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2014년 6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급성기 뇌졸중 이후 재활치료를 받은 197명을 대상으로 ‘뇌졸중 후 체크리스트’에 대한 조사한 결과, 장해의 악화는 환자의 전체적인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진다고 밝혔다.

 

조사는 뇌졸중이 발생한 뒤 3개월, 6개월, 12개월의 시점, 총 세 차례 진행됐으며 체크리스트는 일상생활 동작, 이동, 경직, 삼킴, 통증, 낙상, 실금, 의사소통, 기분(불안‧우울), 인지기능, 뇌졸중 후의 삶, 가족과의 관계 등 총 12개의 증상이 포함됐다.

 

조사 결과, 환자들이 ‘주관적 악화’를 호소하는 비율은 뇌졸중 후 6개월 시점에 가장 높았고 대부분의 항목에서 10% 이상의 환자가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뇌졸중 발생 후 호소하는 ‘주관적 악화’의 증상별 유병률.

특히 이동에 대한 어려움(17.1%)이나 불안 및 우울의 악화를 호소(16.0%)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일상생활 동작, 통증, 인지기능의 악화를 경험한 환자도 많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한 뇌졸중 발생 후 취미생활, 레저활동, 일(직업)과 같은 일상적인 삶의 악화를 호소한 환자 역시 15%를 넘는 수준이었다.

 

이와함께 장해의 악화는 환자의 전체적인 삶의 질 저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관성을 보였는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동기능의 어려움 및 의사소통 능력의 악화가 실제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김원석 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수준은 아니었지만 경직 및 통증, 우울증, 인지기능의 악화 역시 환자의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실제 이러한 주관적 악화는 다양한 증상들과 연관된 후유증을 야기 할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백남종 교수는 “뇌졸중 발생 후 6개월~12개월까지는 뇌와 신체 기능이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시기인데 이때 다양한 장해의 주관적 악화를 경험하는 환자가 많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이는 환자의 삶의 질 악화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재활의학과 등 연관된 진료과와의 적절한 협진 치료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Journal of Stroke & Cerebrovascular Diseases(뇌졸중 및 뇌혈관 질환 저널)에 게재됐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