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심뇌혈관질환 안전망, 여전히 제자리…“중앙센터 절실”

지난 11일 국회 ‘심뇌혈관질환의 체계적 국가 관리’ 토론회
중앙센터 설립, 권역센터 추가선정 등 안전망 구축 한목소리

조우진 기자 | 기사입력 2019/12/12 [09:01]

심뇌혈관질환 안전망, 여전히 제자리…“중앙센터 절실”

지난 11일 국회 ‘심뇌혈관질환의 체계적 국가 관리’ 토론회
중앙센터 설립, 권역센터 추가선정 등 안전망 구축 한목소리

조우진 기자 | 입력 : 2019/12/12 [09:01]

▲ 지난 11일 국회에서는 ‘심뇌혈관질환의 체계적 국가 관리’를 위한 대토론회가 개최,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후생신보】초고령사회로 변화하며 심뇌혈관질환 발생이 급증, 국가 안전망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2~3시간안에 치료가 시작돼야 한다는 시간적 제약이 있기에 정부는 그 심각성을 인지, 심뇌혈관질환을 4대중증질환으로 선정, 권역별심뇌혈관질환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지역 간 격차는 여전하고 사각지대 역시 존재한다.

 

지난 11일 국회에서는 ‘심뇌혈관질환의 체계적 국가 관리’를 위한 대토론회가 개최,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첫 번째 주제강연은 ‘국내 심뇌혈관질환 관리 현황과 계획’이라는 주제로 이건세 건국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가 발표했다.

 

이 교수는 “심뇌혈관질환은 암보다도 급한 질환이다. 시간이 매우 중요해 기다릴 수가 없는 병이다. 정부는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만든다는 목표로 정책을 펼쳐왔지만 실효가 없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권역별로 설치된 심뇌혈관질환센터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중앙과 권역, 지역의 심뇌혈관질환 안전망이 구축돼있지 않기에 치료역량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의 필요성에 대해 “14개의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운영되고 있지만 심뇌혈관질환관리 사업의 구심점 역할과 기술지원을 위한 중앙 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은 매우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두 번째 주제강연은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의 필요성’을 두고 차재관 권역센터심뇌혈관질환센터 협의회장이 발표했다.

 

그는 심뇌질환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하며 “가장 사망률이 높은 질환은 심장과 뇌혈관 질환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익히 증명된 사항이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정부의 권역심뇌혈관질환 센터 정책으로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서도 뇌졸중과 심근경색증에 대해 많은 관심이 생기고 있다. 또 수도권과는 달리 지역의 공공의료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어 자부심도 높다”고 평가했다.

 

차 협의회장은 “시스템은 있지만 우리가 과연 질환 치료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OECD 평균 대비 8% 이상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환자 퇴원 시 장애로 이어지는 경우도 매우 많다. 그저 병원에서 생명만을 살리는 꼴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결국 문제의 핵심은 필수 의료 양극화 해소다. 이를 위해서는 누군가 권역과 지역센터를 이끌어야 한다. 그 역할은 정부가 리더쉽 있는 중앙 센터를 구축해 전체적으로 철저하게 관리해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주제강연 이후 진행된 토론에도 많은 의견이 나왔다. 나정호 대한뇌졸증학회 이사장은 "현재 61개의 센터가 있지만 100개 이상은 돼야만 지역 간 격차를 줄이고 환자를 시간 내 이동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또 "병원 전 단계의 치료도 매우 중요하다. 아무래도 119구급대원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면서 업무협약을 통한 교류를 하고 있지만 구속력이 약해 의무적으로 교육이 시행되고 있지는 않다. 리더쉽이 있는 중앙 관리 센터의 필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권역센터의 고충도 털어놨다. 나 이사장은 "뇌졸증이 사망률이 높지만 중증도가 낮아 이는 솔직히 이해할 수 없다. 이토록 대접받지 못하고 힘든 분야다보니 새로운 의사 유입이 줄어들고 있다. 권역센터 지정된 이후 그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 환자를 위한 길이라고 노력해왔지만 이는 한계가 있다. 인력난에 대한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유연성있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경국 충북대병원 권역심뇌질환센터 교수는 권역에 대해 지적하며 "실제 진료 권역과 행정권역과의 차이가 있다. 그 과정에서 진료의 실효성이 낮아진다. 모든게 완벽할 수는 없다. 실제 운영을 해보면 취약한 부분은 서울과 수도권에도 분명히 존재한다. 우선 서울에도 권역센터의 설립이 필요해 보인다"고 의견을 밝혔다.

 

백남종 대한뇌신경재활학회 이사장은 "심뇌혈관질환센터의 한 종사자로써 볼 때 권역센터가 지정되고 여러 지표가 생기며 그 지표를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고 말했다.

 

또 "그동안의 노력으로 심뇌혈관 질환에 모든 영역에 있어 많이 개선하고 성장했다. 강력한 리더쉽을 갖는 중앙센터가 있다면 많은 것이 변할 것이다. 지금까지 권역센터들은 민간 위탁 연구 형태로 운영됐고 학회 간 갈등이나 이해관계가 반영되는 단점이 있었다"고 토로했다.

 

이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공공의료 차원에서 정부가 관여해 큰 그림을 그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권역 센터들의 수준이 매우 올라갔는데 중앙의 센터는 이에 대한 수준을 미리 맞추고 고민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뜻깊은 업무협약도 체결됐다. 공공의료의 중심축을 맡고 있는 국립중앙의료원과 서울대병원이 필수의료 국가책임강화를 위해 업무협약을 맺고 공공보건의료발전에 함께 기여할 것을 약속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