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골대사학회 임상전문의 89.1% “정부 골다공증 심각성 인식 및 정책지원 미흡”

골다공증·골절이 ‘노년의 적’ 등장...인지율·치료율 제고 시급
고관절 골절 발생 시, 남성21%, 여성14% 1년 이내 사망

윤병기 기자 | 기사입력 2019/10/16 [14:12]

골대사학회 임상전문의 89.1% “정부 골다공증 심각성 인식 및 정책지원 미흡”

골다공증·골절이 ‘노년의 적’ 등장...인지율·치료율 제고 시급
고관절 골절 발생 시, 남성21%, 여성14% 1년 이내 사망

윤병기 기자 | 입력 : 2019/10/16 [14:12]

【후생신보】 우리나라는 인구 14%가 65세 이상인 고령사회에 이미 진입 했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계 및 전문가단체를 중심으로 당뇨·고혈압 위주의 기존 만성질환정책에서 탈피해 ‘노년의 삶의 질’ 을 좌우하는 질환에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골다공증·골절이 ‘노년의 敵’ 등장... 인지율·치료율 제고 시급

 

골다공증은 노년기 삶의 질을 급격히 악화시키는 ‘노년의 敵’ 으로 불린다. 선진국일수록 고령화가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이에 따라 골다공증·골절이 중요한 만성질환으로 다뤄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지율과 치료율이 모두 매우 낮은 수준이어서 골다공증의 위험성을 알리고 검진을 활성화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에 따르면 70세 이상 노인 중에서 여성환자의 27.7%, 남성환자의 6.6%만이 자신이 골다공증임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치료를 받은 골다공증 환자는 여성이 12.9%, 남성이 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 골절 발생 시, 남성21%, 여성14% 1년 이내 사망... 치명률 높아

 

흔히 골다공증을 만성질환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골다공증은 필연적으로 골절을 유발해 치명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골다공증으로 인해 대퇴골, 고관절, 척추 등 주요부위가 골절되면 일상생활 능력을 회복하지 못하거나 사망위험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50대에는 손목 골절이 주로 발생하나 고연령으로 갈수록 고관절 및 척추 골절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특히, 고관절 골절이 발생할 경우 1년 내 치명률은 남성 21%, 여성 14% 수준으로 전체 6명 중 1명이 1년 이내에 사망하는 결과(대한골대사학회, 2018 Factsheet)에 이른다.

 

골다공증 환자 중 약 66%가 약물치료 시작 후 1년 안에 중단

 

현재 골다공증 관리에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치료중단율이 높다는 점이다. 임상현장에서는 골다공증 급여기준 상 약물의 투여기간을 제한하는 조항이 있어 효과적 관리가 어렵다고 지적한다. 현행 건강보험 급여 기준 상 약제 치료 도중 골밀도가 –2.5 이상으로 개선되면 골다공증 약물 치료에 건강보험 급여지원이 중단된다.

 

실제로 학회의 2014년 조사에서 골다공증 약물치료 시작 후 1년 안에 100명 중 66명이 치료를 중단하고, 골절 발생 후에도 10명 중 4명만 약물치료를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국, 호주, 캐나다, 프랑스 등 해외 주요국가에서는 골다공증 약물에 대한 급여기준에 투여기간 제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만성간질환, 신장질환,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주요한 만성질환의 경우에는 약물 투여기간 제한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

 

임상전문의 89.1%, ‘정부의 골다공증 심각성 인식 및 정책지원 불충분’

 

최근 대한골대사학회가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학회 회원 대부분이 정부의 정책지원, 인식 등이 미흡하다고 답변했다. 정책지원이 미흡하다고 답한 이유로 ▴골다공증 약물 급여기준 제한, ▴고혈압․당뇨에 비해 지원정책 부족, ▴홍보 부족 순으로 언급했다. 동 조사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임상전문의 11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