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서울성모병원,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200례 달성

절반 정도가 부부 이식…보편적 신장이식법 자리매김

이상철 기자 | 기사입력 2019/01/10 [14:37]

서울성모병원,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200례 달성

절반 정도가 부부 이식…보편적 신장이식법 자리매김

이상철 기자 | 입력 : 2019/01/10 [14:37]

【후생신보】 서울성모병원이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200례를 달성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센터장 양철우 신장내과)가 최근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200례를 달성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센터장 양철우 신장내과)20095월 첫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성공 이래 20161100, 201812200례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을 시행한 첫 해에는 생체이식의 10%였으나 매년 증가해 2018년에는 서울성모병원 전체 생체신장이식 39%에 달할 정도로 그 비중이 증가했다. 즉 생체 신장이식 10명중 4명은 혈액형 부적합 이식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이 보편화된 것은 의학의 발전(항체생성을 억제하는 항체주사와 혈액형에 대한 항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혈장반출술)과 공여자부족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료진의 노력의 결실로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에 필요한 약제와 검사의 급여화로 더욱 활성화 되는 계기가 되었다.

 

혈액형 부적합 이식의 특징 중 하나는 부부이식 49.5%를 차지,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의 절반은 부부이식이었으며 다음으로 부모-자식간 공여가 20%, 형제간 공여가 17.5%로 그 뒤를 이었다.

 

서울성모병원은 그 동안의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성적을 분석한 결과, 혈액형 적합이식과 비교해 이식신의 생존율에 차이가 없으며 혈액형 항체역가에 따른 이식신 생존율에도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국제적으로도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이 경쟁력을 가지게 되었다.

 

최근에는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공여자를 통해 신장과 간 동시이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여 혈액형부적합 이식의 영역을 확대했다.

 

양철우 센터장은 아직까지도 혈액형이 부적합하면 이식이 금기라고 알고 있는 많은 환우들에게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은 이제 보편적인 이식법으로 자리 잡았다는 사실을 알리고 공여자가 있지만 혈액형이 부적합해 망설이는 환자분에게 희망이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성모병원에서 200번째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을 받는 환자(신모씨 59세 여자, A)9년 전부터 복막투석을 해오던 중 서울성모병원을 찾았다. 공여자는 딸(370)로서 혈액형 A형에 대한 항체역가가 1:128로 비교적 낮은 역가를 보였다.

 

항체역가는 환자가 기증자에 대한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 강도로 이식 후 거부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의료진은 이식수술 한달 전 항체 생성을 억제하는 주사(맙테라)를 투여하고 이식 전 6차례의 혈장반출술을 시행하여 항체역가를 1:16이하로 감소시켜 이식수술을 시행, 특별한 합병증 없이 수술 후 2주째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