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UCB, ‘UCB 이노베이션 심포지엄’ 성료

뇌전증 진단서 치료까지 질환 전반 연구 사례 및 개선점 공유

문영중 기자 | 기사입력 2018/12/05 [16:10]

UCB, ‘UCB 이노베이션 심포지엄’ 성료

뇌전증 진단서 치료까지 질환 전반 연구 사례 및 개선점 공유

문영중 기자 | 입력 : 2018/12/05 [16:10]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서대원 교수가 UCB 이노베이션 심포지엄에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후생신보】한국UCB제약(대표이사 이영주)이 지난 달 24,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의료진을 대상으로 ‘UCB 이노베이션 심포지엄을 진행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뇌전증 진단 및 치료법 모색을 위한 최신 연구를 소개하는 한편, 전문가들의 의견 공유를 위해 마련됐다.

 

심포지엄에서는 뇌파, 비디오를 활용한 뇌전증 진단 기술과 장내세균불균형 개선을 통한 뇌전증 치료 연구 사례를 통한 미래의 뇌전증 진단과 치료에 대한 논의와 적용을 위한 환경적 개선사항 등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서울의대 신경과 정기영 교수는 뇌파 감지를 통한 뇌전증 진단 기술에 대한 강연에서 뇌파 신호원 국소화 방법이 적용된 고밀도 뇌파신호원 양극자 국지화 검사20172월부터 신의료기술로 등재 됐지만, 여전히 현실적인 어려움은 존재한다분석 방법이 아닌 분석 기계가 등재되었기 때문에, 수가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이어 성대의대 신경과 서대원 교수는 ‘EMU(Epilepsy Monitoring Unit)를 이용한 자동 발작 감지 솔루션 연구를 주제로, 다양한 뇌전증 발작 형태를 진단하는 자동 감지 기술 연구에 대한 지견을 공유했다. 서 교수는 현재 EMU(Epilepsy Monitoring Unit)를 사용한 비디오 분석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분석할 수 있는 환자 수가 적다는 한계를 언급했다.

 

서 교수는 국내에서 반복적인 비디오 연구를 통해 자동으로 환자별 발작 확률을 예측하는 알고리즘 개발 시도가 있었지만 아직은 초기 단계라며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 감지 기술이 나온다면 시간공간적인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환자가 느끼기 힘든 미세한 발작 증상까지 잡아내 혁신적인 맞춤 치료가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날 심포지엄에서는 뇌전증의 새로운 치료 표적 연구를 통한 치료법 개선 논의도 이루어졌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허경 교수는 장내세균이 뇌전증 치료표적이 될 수 있는가?’를 주제로, 장내세균불균형과 뇌 신경의 상관 관계를 연구한 최근 사례를 공유해 참석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UCB에서 진행중인 혁신 연구 개발 사례들도 소개됐다. UCB 중국 신경과학 혁신 사업부(UCB China Neuroscience Patient Innovation) 책임자인 아론 시안은 연구 결과, 뇌전증 질환의 가장 큰 특성 두 가지는 발작에 대한 예측불가성과 증상의 개별성이라며, “이러한 질환 특성 때문에 환자들은 언제 발작을 일으킬지 두려워서 사회 생활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며 뇌전증 환자의 삶의 질 저하 실태를 소개 했다.

 

시안은 “AI가 정확하게 뇌파를 판독하거나, 웨어러블 분석기기로 환자의 발작을 실시간 트래킹 할 수 있게 된다면 개인별 증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혁신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현재 UCB는 여러 벤처 기업과 함께 의약품 순응도 및 복약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필과 혈액 검사를 이용한 발작 추적법 등 뇌전증 분야의 다양한 기술 개발에 착수한 상태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