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차·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지불제도는 ‘행위별수가’가 적합

의정연, 의사대상 인식조사 공개…의료 질 향상·치료 개선 기여 못해

이상철 기자 kslee@whosaeng.com | 기사입력 2024/12/12 [13:45]

1차·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지불제도는 ‘행위별수가’가 적합

의정연, 의사대상 인식조사 공개…의료 질 향상·치료 개선 기여 못해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4/12/12 [13:45]

【후생신보】  정부가 추진하는 지불제도 개편안(성과보상, 가치기반 보상)이 의료 질 향상이나 의료비 절감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특히 일차의료기관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적합한 지불제도 모델은 행위별 수가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은 ‘주요국가 진료비 지불제도 동향과 시사점-정부 진료비 지불제도 개편방향의 문제점’ 연구보고서를 통해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의정연은 의사 846명을 대상으로 진료비 지불제도에 대한 인식 및 정부 진료비 지불제도 개편방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5.1%는 정부의 지불제도 개편방향에 대해 알지 못했으며 90.5%는 정부가 추진하는 지불제도 개편안이 의료 질 향상이나 의료비 절감에 기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불제도 개편안에 대해서는 ▲의료 질 향상과 환자 치료 결과 개선에서는 ‘전혀 기여 안함’ 이라는 응답이 각각 61.8%와 61.2%로 가장 많았으며 ▲다소 기여 안함(18.9%, 18.4%)도 높게 나타나 부정적인 인식이 주를 이뤄 지불제도 개편안이 의료 질 향상과 환자 치료 개선에 크게 기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또한 의사들은 환자들도 지불제도 개편안에 불만족할 것으로 예상했다.(매우 불만족 38.9%, 불만족 27.5%)

 

특히 일차의료기관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적합한 지불제도로는 행위별수가제(일차의료기관 74.6%, 병원급 이상 69.3%)를 가장 선호했다. 이어 성과보상지불제가 일차의료기관 28.3%, 병원급 이상 33%였다.

 

이와함께 진료비 지불체계를 성과(질적·재정적)와 연동해 의료서비스 과정과 결과를 통제하고 의료체계를 개선하려는 기전의 미국 ACO(Accountable Care Organization) 모델의 국내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환자 참여 및 협력 부족’ 등의 이유로 58.3%가 도입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의료정책연구원은 “정책 입안자들은 지불제도를 설계하거나 개편할 때 단순히 비용 절감을 목표로 삼는 것에 그치지 말고 의료서비스 질적 향상과 환자 안전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며 ”우리나라에 적합한 세밀한 정책 설계를 위해 의료계와 충분한 논의와 협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