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수술 후 재발률 높은 간외담관암, 피검사로 암 재발 확인

서울아산병원 유창훈 교수팀, 암세포 찌꺼기 순환종양핵산 양성시 재발 위험 4배↑
CT나 MRI 검사로 실제 재발 발견 전 피검사로 예측 가능해…조기 치료 가능 기대

이상철 기자 kslee@whosaeng.com | 기사입력 2024/12/12 [09:31]

수술 후 재발률 높은 간외담관암, 피검사로 암 재발 확인

서울아산병원 유창훈 교수팀, 암세포 찌꺼기 순환종양핵산 양성시 재발 위험 4배↑
CT나 MRI 검사로 실제 재발 발견 전 피검사로 예측 가능해…조기 치료 가능 기대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4/12/12 [09:31]

▲ 유창훈 교수

【후생신보】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내려가는 길을 담관이라고 하는데 간 속에 있는 부분을 간내담관, 간 바깥부터 십이지장까지 연결된 부분을 간외담관이라고 한다. 간외담관에 생긴 암은 수술을 하더라도 재발률이 높지만 간단한 피검사로 재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유창훈 교수팀은 간외담관암 수술 및 보조항암치료를 받으면서 종양 유전체 분석을 위해 혈액 검사를 받은 환자 90여 명을 분석한 결과, 순환종양핵산이 양성인 경우 암이 재발할 위험이 약 4배 높았다고 밝혔다.

 

순환종양핵산은 암세포의 찌꺼기다. 암세포는 성장하면서 주변 정상 세포를 변형시키는데 특정 형태로 변형된 유전자 조각 즉 순환종양핵산이 혈액 속에 떠다닌다.

 

최근 국내외 의료계에서는 최대한 조기에 암 발생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순환종양핵산 검사에 주목하고 있다.

 

간외담관암은 수술 후 재발률이 높지만 재발 가능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종양표지자로 흔히 사용되는 CA19-9도 위음성, 위양성 문제가 있어 신뢰도 높은 새로운 바이오마커가 필요했다.

 

유 교수팀은 2017년 1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간외담관암 수술 및 보조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중 순환종양핵산 분석을 위해 혈액 검사를 받은 89명을 대상으로 순환종양핵산 검출 여부와 무질병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유 교수팀은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 전, 보조항암치료 실시 12주 후, 24주 후 총 세 번 혈액 검사를 실시한 결과, 순환종양핵산이 계속 양성으로 나왔거나 음성이었다가 양성으로 바뀐 환자는 47명, 모두 음성으로 나왔거나 양성이었다가 음성으로 바뀐 환자는 42명이었다.

 

무질병생존율에 대한 순환종양핵산 양성 여부의 위험비는 3.81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순환종양핵산이 검출돼 양성인 경우 간외담관암 재발률이 약 4배 높았다.

 

또한 보조항암치료 중 혈액 검사 결과 순환종양핵산이 양성에서 음성으로 전환된 환자는 지속적으로 음성이었던 환자와 생존율이 유사해 순환종양핵산 상태 변화가 생존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으로 순환종양핵산이 음성으로 나온 환자의 24개월 생존율은 80.4%, 양성에서 음성으로 전환된 환자는 75%였지만 계속 양성으로 나온 환자는 50%, 음성에서 양성으로 전환된 환자는 45.5%였다.

 

보조항암치료 중 혈액 검사 결과에서 순환종양핵산이 음성에서 양성으로 전환됐고 실제로도 나중에 CT나 MRI 검사 결과 간외담관암이 재발한 11명 중 3명은 재발이 실제로 발견되기 평균 222일 전, 5명은 평균 174일 전에 혈액 검사에서 순환종양핵산이 음성에서 양성으로 전환됐다.

 

순환종양핵산 양성 전환 당시 CA19-9, CEA와 같은 종양표지자검사는 정상으로 나타나 이들보다 순환종양핵산의 재발 위험 예측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창훈 교수는 “간외담관암이 수술 후에도 재발률이 높다보니 재발 위험을 더욱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필요성이 임상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는데 CT나 MRI 검사로 암 재발을 발견하기 전에 상대적으로 간단한 피검사로 순환종양핵산 검출 여부를 통해 재발 가능성을 초기부터 파악해 선제적인 치료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유 교수팀의 연구 논문은 간질환 분야에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저널 중 하나인 ‘유럽간학회지(Journal of Hepatology IF=26.8)’에 최근 게재됐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