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신경계 림프종 예후 평가, PET·CT가 MRI보다 유용종양 부피·대사활성도 등 치료 전후 PET·CT 검사 지표, 치료 결과에 변별력 제공
|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윤덕현 교수팀(조형우, 핵의학과 김재승·오민영)는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환자에게서 아직까지 역할이 충분히 정의되지 않았던 PET·CT의 유용성을 MRI와 비교한 첫 번째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뉴로온콜로지(Neuro-Oncology, IF=16.4)에 최근 게재했다.
윤 교수팀은 2006년부터 2020년까지 신규로 진단된 268명의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환자를 대상으로 18F-FDG(Fluorodeoxyglucose) PET·CT와 MRI 검사 결과를 비교해 환자의 예후 평가와 치료 반응 모니터링에 효과적인 도구를 분석했다.
18F-FDG는 포도당 유사체로 신체 내 세포에 흡수되며 종양처럼 대사 활동이 활발한 세포에서 높은 방사능 신호를 감지해 생물학적 활성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연구 결과, PET·CT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종양의 부피와 치료 후 대사 반응이 환자의 무진행 생존기간과 전체 생존기간에 중요한 독립 예후 인자로 밝혀졌다.
치료 전 PET·CT로 측정한 종양의 부피가 17㎤ 이하의 환자군은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값이 74.0개월로, 종양의 부피가 17㎤ 이상인 환자군의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 12.5개월과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료 후 PET·CT로 측정한 대사 반응 검사 결과, 치료반응이 좋아 대사 활동이 없어진 환자군(PET-)은 무진행 생존기간 평균 46개월, 전체 생존기간 평균 62개월이었다. 치료 반응이 적거나 종양이 활성화 돼 대사활성이 남아 있는 환자군(PET+)의 무진행 생존기간 평균 10.5개월, 전체 생존기간 21개월에 비해 훨씬 좋은 결과였다.
반면, MRI상에서 측정한 종양의 치료 반응 정도는 환자의 예후 평가에 변별력이 없었다.
김재승 교수는 “이번 연구는 중추신경계 림프종에서 검사별 예후예측 정확도를 처음 비교한 것으로 PET·CT가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환자의 예후 평가와 치료 반응 모니터링에 중요한 도구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특히 윤덕현 교수는 “종양의 해부학적 위치와 크기를 알려주는 MRI와 대사활성도를 측정하는 PET·CT가 서로 보완적으로 쓰인다면 최적의 치료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MRI는 주로 종양의 해부학적 구조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종양의 위치 및 크기 등을 파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반면, PET·CT는 종양의 생물학적 활동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통해 치료 후 대사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방사성의약품을 정맥 주사하고 특수 장비로 이 약품의 신체 내 분포를 촬영해 분석한다.
|
|||
|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