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젊은 성인, 정신질환 있으면 심근경색 58%·뇌졸중 42%↑

서울대병원 최의근 교수팀, 불안장애·우울증·불면증 등 정신질환 있는 젊은 성인, 심혈관질환 발생위험 증가

이상철 기자 | 기사입력 2023/05/24 [09:34]

젊은 성인, 정신질환 있으면 심근경색 58%·뇌졸중 42%↑

서울대병원 최의근 교수팀, 불안장애·우울증·불면증 등 정신질환 있는 젊은 성인, 심혈관질환 발생위험 증가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3/05/24 [09:34]

【후생신보】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앓았거나 앓고 있는 20~30대 성인은 또래에 비해 심근경색 위험이 58%, 뇌졸중 위험이 42%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미국 CNN 뉴스 채널에 최근 소개됐다. 젊은 성인들도 정신질환 병력이 있다면 심혈관질환에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팀(박찬순 임상강사, 숭실대 한경도 교수)이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39세 성인 655만 7,727명을 추적 관찰해 정신질환 유무에 따른 심혈관질환(심근경색, 뇌졸중) 발생 위험을 비교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 (왼쪽부터) 최의근 교수 박찬순 임상강사 한경도 교수

 

최 교수팀은 젊은 나이의 정신질환이 평생 동안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20~30대 젊은 성인 약 650만명을 정신질환 병력 유무에 따라 구분하고 약 7년 동안 심근경색 및 뇌졸중 발생을 추적 관찰했다.

 

관찰 결과, 생활습관(흡연, 음주)과 만성질환(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에서 정신질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정신질환은 ▲우울장애 ▲양극성장애 ▲조현병 ▲불면증 ▲불안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성격장애 ▲신체형장애(심리적 요인이나 갈등으로 인한 심리적 장애가 신체적 형태로 나타나는 질환) ▲섭식장애 ▲물질사용장애(특정 물질을 반복적으로 사용해 다양한 문제가 나타남에도 중단하거나 조절하지 못하는 질환) 등 10가지로 정의됐다.

 

관찰 결과, 전체의 13%인 85만여 명에게 정신질환 병력이 있었다. 즉 7~8명 중 1명꼴로 정신질환을 앓았거나 앓고 있던 것이다.

 

특히 정신질환 병력 유무에 따른 심혈관질환의 상대적 위험을 비교한 결과, 정신질환 병력이 있으면 심근경색 위험이 1.58배, 뇌졸중 위험이 1.4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심근경색 및 뇌졸중 발생 위험의 정신질환별 비교

 

또한 심근경색 및 뇌졸중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각 정신질환마다 달랐다. 모든 정신질환이 심근경색 발생 위험을 증가시켰는데 특히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및 물질사용장애’ 병력이 있으면 심근경색 위험이 각각 3.13배, 2.47배까지 증가했다.

 

뇌졸중 발생 위험은 ‘성격장애 및 조현병’ 병력이 있으면 각각 3.06배, 2.95배까지 증가한 반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및 섭식장애 병력은 뇌졸중 발생 위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번 결과와 관련, 정신질환 병력을 가진 20~30대 성인은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또래보다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최 교수팀은 강조했다.

 

최의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았거나 받는 중인 젊은 성인에게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건강검진 및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며 “추후 정신질환 치료 시 심혈관질환 위험이 일반인 수준으로 정상화될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팀의 연구는 ‘유럽 심장예방 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는 일반인보다 기대수명이 짧은데 정신질환자가 신체적 질환에도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졌다. 특히 정신질환자는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심혈관질환’이 일반인에 비해 잘 발생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