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김안과 조한주 전문의, 황반변성 주사제 새 치료지침 제시

망막내액 잘 생기는 4가지 위험인자 확인…미국안과저널 AJO에 논문 게재

문영중 기자 | 기사입력 2023/04/10 [10:39]

김안과 조한주 전문의, 황반변성 주사제 새 치료지침 제시

망막내액 잘 생기는 4가지 위험인자 확인…미국안과저널 AJO에 논문 게재

문영중 기자 | 입력 : 2023/04/10 [10:39]

【후생신보】대표적 실명질환 중 하나인 습성 황반변성의 주사치료에 있어 새로운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김안과병원 망막병원 조한주 전문의팀은 습성 환반변성 환자에서 망막내액이 잘 생기는 4가지 위험인자를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황반변성은 크게 건성과 습성으로 나뉘는데, 습성 황반변성은 황반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생기면서 이 혈관에서 삼출이나 출혈이 발생하여 망막을 붓게 만들고 시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망막부종은 망막내층이나 아래층, 혹은 두 곳 모두에 물이 차서 생길 수 있는데, 망막내층에 물이 차는 경우가 예후가 좋지 않고 치료에 반응이 좋지 않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망막내액이 잘 발생할 수 있는 예측인자를 찾아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조한주 전문의팀에 따르면 망막내액이 잘 생길 수 있는 위험인자들은 ▲맥락막신생혈관의 크기가 큰 경우 ▲초진 당시에 망막 내층에 물이 있었던 경우 ▲섬유혈관성 망막색소상피 박리가 있는 경우 ▲맥락막 신생혈관 유형 중 결절맥락막혈관병증이 아닌 경우 등의 4가지이다.

 

이같은 사실은 김안과병원에서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단받고, 주사치료를 받은 환자 중 24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425명을 대상으로 빛간섭단층촬영(OCT) 분석 및 연구를 진행해 결과 밝혀졌다.

 

이번 연구결과는 습성 황반변성 환자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위험인자들이 있는 환자의 경우 더 자주 경과관찰을 하고, 주사치료를 좀 더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등의 추가적인 환자 맞춤형 관리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

 

조한주 안과전문의는 “현재 습성 황반변성의 표준 치료는 항체주사를 통해 망막의 부종을 개선하고 신생혈관을 억제하여 시력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다. 그런데 환자 상태에 따라 필요한 주사치료 횟수는 매우 다양하며, 치료 접근법도 매우 다양해진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각 환자의 예후를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며, 주사치료를 하는 경우 각 환자 상태에 맞게 다양한 맞춤치료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논문은 2022년 미국안과저널 AJO(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에 게재됐다. AJO는 1884년부터 이어온, 안과학에서 가장 권위 있는 SCI급 국제학술지 중 하나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김안과병원, 김한주 전문의, 황반변성, AJO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