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성별에 따라 노쇠에 의한 새로운 장애 발생 가능성 다르다?

여성이 남성보다 취약, 노쇠 정책 수립 시 ‘성별’ 또한 고려되어야

윤병기 기자 | 기사입력 2022/10/18 [09:30]

성별에 따라 노쇠에 의한 새로운 장애 발생 가능성 다르다?

여성이 남성보다 취약, 노쇠 정책 수립 시 ‘성별’ 또한 고려되어야

윤병기 기자 | 입력 : 2022/10/18 [09:30]

【후생신보】  노쇠는 성별 구분없이 독립적으로 새로운 장애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그 가능성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크게 나타나는것으로 확인됐다.

 

▲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경희대 융합의과학과 김미지 교수, 이서윤 연구원 순(좌측부터)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팀(경희대 융합의과학과 김미지 교수, 이서윤 연구원 등)은 노인노쇠코호트 국책과제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노쇠 단계별 새로운 장애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했다.

 

한국 노인노쇠코호트 참가자 중 70~84세 노인 2,905명을 노쇠와 노쇠 전단계, 건강한 그룹으로 구분한 후 2년 간 추적 관찰을 통해 3가지 장애[ ADL : 기본적 일상생활기능 장애(식사, 배설, 목욕, 보행 등) / IADL : 사회적 일상생활기능 장애(돈관리, 가사일, 전화사용, 약먹기 등) 기본적 일상생활기능(ADL) 장애, 사회적 일상생활기능(IADL) 장애, 거동장애]에 대한 발생 가능성을 살펴봤다.

 

그 결과 관련 변수를 통제했을 때 신체적 허약함, 즉 노쇠는 성별구분없이 독립적으로 새로운 장애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그 가능성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는 “노쇠할 경우, 건강한 노인에 비해 2년 후 거동장애를 겪을 가능성은 여성 14배, 남성은 9.9배에 달했으며, 사회적 일상생활기능(IADL)의 장애로 발전할 가능성은 여성이 7.2배, 남성은 3.2배로 특히 노쇠한 남녀 모두에게 발생 확률이 높은 사회적 일상생활기능의 장애 유형은 운송수단 이용하기(버스, 전철타기)였다”며 “본 연구는 노쇠가 장애 유발의 매우 중요한 위험 요인임을 확인한 동시에 관련 정책 및 예방프로그램 수립 시 남성보다 여성에 대한 회복 개입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연구는 온라인 과학 전문지 ‘바이오메드센트럴-노인의학’(BMC GERIATRICS) 7월호에 발표됐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경희대병원, 노쇠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