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노인(75세 이상) 손상환자 3명 중 2명은 추락·낙상

손상 중 추락·낙상이 1위(전 연령 중 42.1%, 75세 이상 중 67.2%)

윤병기 기자 | 기사입력 2022/06/30 [09:40]

노인(75세 이상) 손상환자 3명 중 2명은 추락·낙상

손상 중 추락·낙상이 1위(전 연령 중 42.1%, 75세 이상 중 67.2%)

윤병기 기자 | 입력 : 2022/06/30 [09:40]

【후생신보】 우리나라 한 해 입원환자는 2019년 기준 723만 명(100병상 이상 규모 병원) 이었으며, 이중 손상환자가 116만 명(16.1%)으로 가장 많은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2019년 손상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환자 대상의 의무기록조사(퇴원손상심층조사)결과를 분석, 「2019 퇴원손상통계」를 6월 30일에 발간하고, 원시자료를 공개했다.

 

우리나라 한 해 입원환자는 2019년 기준 723만 명(100병상 이상 규모 병원) 이었으며, 이중 손상환자가 116만 명(16.1%)으로 가장 많았다.

 

손상환자 중에는 남자 환자가 더 많았고(53.2%), 65세 이상은 여자 환자가 더 많았다. 또한 남자는 55~64세에서, 여자는 75세 이상에서 입원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손상환자의 96.2%는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환자이며, 의도성 자해나 폭행에 의한 환자는 각각 1.8%, 1.5%이었다.

 

남자의 경우 의도성 자해(1.6%)보다 폭행(1.9%)이 많았고, 여자는 의도성 자해(2.1%)가 폭행(1.1%)보다 많은 편이었다.

 

15~24세는 의도성 자해에 의한 환자가 3.2%, 폭행에 의한 환자가 3.6%로 다른 연령군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손상기전별로는 추락·낙상환자가 가장 많았고(42.1%), 운수사고(27.8%), 부딪힘(10.8%)에 의한 환자가 그 다음 순으로 많았다. 

 

추락·낙상환자는 75세 이상에서 67.2%였으며, 65~74세도 51.8%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15~54세 연령군은 운수사고환자가 가장 많았다.

 

중독 손상환자는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환자보다(35.0%), 의도성 자해(60.9%) 환자가 많았는데, 0~14세의 경우 87.6%가 비의도성 사고에 의한 중독이었다.

 

전체 입원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8일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입원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손상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3일로, 전체 평균(8일)에 비해 길게 입원하였으며, 손상환자도 연령 증가에 따라 입원 기간이 늘어나 0~14세는 7일, 75세 이상은 17일간 입원했다.

 

손상기전별로는 불·화염·열에 의한 손상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7일로 가장 길었고, 추락·낙상환자도 14일로 평균보다 길었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손상은 고위험군의 특성에 맞게 환경과 위험요인을 적절히 통제함으로써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면서,  “손상조사감시사업을 통해 손상 발생 위험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근거로 예방관리사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다.”라고 밝혔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질병관리청, 손상, 낙상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