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퇴행성 뇌질환 치료 새 가능성 발견

차의과학대 연구팀,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가 뇌질환 유발하는 독성 단백질 조절 확인

이상철 기자 | 기사입력 2021/07/09 [16:28]

퇴행성 뇌질환 치료 새 가능성 발견

차의과학대 연구팀,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가 뇌질환 유발하는 독성 단백질 조절 확인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1/07/09 [16:28]

【후생신보】  국내 연구진이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가 다양한 독성 단백질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확인, 퇴행서 뇌질환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

 

차의과학대 생명과학과 도현아 학생(석사과정)과 백광현 교수팀은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가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다양한 독성 단백질을 조절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난치병 분야로 알려진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루게릭병, 헌팅턴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독성 단백질의 축적은 퇴행성 뇌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발병과정과 독성 단백질의 분해조절 방법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단지 세포내의 단백질을 분해하고 이동시켜 체내 평형을 조절하는 유비퀴틴화가 독성 단백질을 분해·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독성 단백질이 유비퀴틴화 과정 중 어떤 요인에 의해 분해·조절되는지 연구를 진행한 결과,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다양한 독성 단백질(amyloid-β, Tau, α-synuclein, TDP-43, Htt 등)은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는 우리 세포 내에 100여 개 존재하는데 연구팀은 이중 18개(자료 참조)가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독성단백질을 분해·조절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6개의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UCHL, USP8, USP9X, USP13, OTUB1, USP14)가 한 개 여러 개의 독성 단백질을 분해·조절 하는 것을 확인했다.

 

논문을 게재한 도현아 학생은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는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독성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제의 배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연구에 이어 정상군과 치매환자 샘플에서 유전자 발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노화관련 국제 SCIE 학술지인 Ageing Research Reviews(IF, impact factor: 10.895)에 게재 됐다.

▲ 독성단백질을 분해•조절하는 ‘단백질 분해조절 효소’ 목록.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