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발달장애인 AI 진단 시스템 표준화된 진단 체계 마련

한양대 김인향 교수, 인공지능시스템 임상현장 적용 목표

박원빈 기자 wbp@whosaeng.com | 기사입력 2020/07/22 [06:07]

발달장애인 AI 진단 시스템 표준화된 진단 체계 마련

한양대 김인향 교수, 인공지능시스템 임상현장 적용 목표

박원빈 기자 | 입력 : 2020/07/22 [06:07]

▲ 김인향 교수     

【후생신보】 “MRI와 같은 생물학적 지표를 이용한 발달장애인 AI 진단 시스템을 개발해 보다 신뢰도가 높고, 객과화되고 표준화된 진단 체계를 마련했다”

 

한양대병원 김인향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지난 21일 본지와 만나 발달장애의 진단 및 비약물적 처방을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해 임상현장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지적 장애 등의 발달장애의 경우 전국적으로 총 21만 명으로, 전체 장애인의 8.7% 수준으로 매년 약 7천 명 정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증상은 영유아기 어린 아이부터 시작돼 빠르면 12-18개월경에도 진단이 가능하지만 완치는 어렵기 때문에 증상이 평생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발달장애인은 다른 유형의 장애인에 비해 중증의 비율이 높아, 성인기가 되어도 자립적인생활이 어렵고 전 생애에 걸쳐 보호가 필요하다. 

 

김인향 교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최종 진단은 전문가가 면담 및 행동 관찰 후 DSM-5의 진단 기준에 따라서 내리게 된다”며 “전문가의 진단은 진료 시간 안에 관찰된 내용 및 보호자가 보고하는 내용을 듣고 내려야 하기 때문에 정보가 불충분 하고 주관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라고 지적했다. 

 

발달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여러 보조 진단 도구가 있기는 하지만, 보통 1~2시간 정도 소요돼 오래 걸리고, 자격을 갖춘 검사자가 국내에 제한적이라 대기 기간도 긴 상황이다. 발달장애인은 빨리 발견해 치료해야 하는데 오래 기다리다 보니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김 교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MRI․뇌파검사)를 발굴해 연구가 진행이 됐지만 아직까지 상용화된 생물학적인 지표가 개발된 적은 없다”며 “기존 연구 방법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빅데이터에 인공지능을 적용하면 보다 객관적인 생물학적인 지표의 패턴을 발견하고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발달장애 진단을 위한 기술 제공이 100% 완벽해야 하기 때문에 아직 까지 오차범위를 줄이는 게 쉽지 않고 임상시험이 어려워 상용화에 난제가 있다. 현제 연구결과 '발달장애 AI 진단 시스템'의 정확도는 약 90%이며 향후 오차를 더 줄이고 정확도를 100%까지 높이는 과정과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발달장애 진단 및 증상의 평가 과정을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통합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조기 진단 및 조기 개입이 가능해 질병의 부담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고 김인향 교수는 전망했다.

 

김 교수는 “간소화된 기술 제공을 통해 세계적인 기술적 우위를 선점할 수 있고 개발한 기술을 통해 다른 발달장애 혹은 정신질환 극복을 위한 기술 개발로 확장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한양대병원은 지난해 7월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사업’의 선도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한양대병원은 신진 의사과학자 육성을 위해 젊은 임상의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기반 조성에 따른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한양대병원, 김인향 교수, 자폐스펙트럼, 발달장애, DSM-5, 발달장애인, MRI, 뇌파검사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