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생신보】 “MRI와 같은 생물학적 지표를 이용한 발달장애인 AI 진단 시스템을 개발해 보다 신뢰도가 높고, 객과화되고 표준화된 진단 체계를 마련했다”
한양대병원 김인향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지난 21일 본지와 만나 발달장애의 진단 및 비약물적 처방을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해 임상현장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지적 장애 등의 발달장애의 경우 전국적으로 총 21만 명으로, 전체 장애인의 8.7% 수준으로 매년 약 7천 명 정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증상은 영유아기 어린 아이부터 시작돼 빠르면 12-18개월경에도 진단이 가능하지만 완치는 어렵기 때문에 증상이 평생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발달장애인은 다른 유형의 장애인에 비해 중증의 비율이 높아, 성인기가 되어도 자립적인생활이 어렵고 전 생애에 걸쳐 보호가 필요하다.
김인향 교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최종 진단은 전문가가 면담 및 행동 관찰 후 DSM-5의 진단 기준에 따라서 내리게 된다”며 “전문가의 진단은 진료 시간 안에 관찰된 내용 및 보호자가 보고하는 내용을 듣고 내려야 하기 때문에 정보가 불충분 하고 주관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라고 지적했다.
발달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여러 보조 진단 도구가 있기는 하지만, 보통 1~2시간 정도 소요돼 오래 걸리고, 자격을 갖춘 검사자가 국내에 제한적이라 대기 기간도 긴 상황이다. 발달장애인은 빨리 발견해 치료해야 하는데 오래 기다리다 보니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김 교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MRI․뇌파검사)를 발굴해 연구가 진행이 됐지만 아직까지 상용화된 생물학적인 지표가 개발된 적은 없다”며 “기존 연구 방법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빅데이터에 인공지능을 적용하면 보다 객관적인 생물학적인 지표의 패턴을 발견하고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발달장애 진단을 위한 기술 제공이 100% 완벽해야 하기 때문에 아직 까지 오차범위를 줄이는 게 쉽지 않고 임상시험이 어려워 상용화에 난제가 있다. 현제 연구결과 '발달장애 AI 진단 시스템'의 정확도는 약 90%이며 향후 오차를 더 줄이고 정확도를 100%까지 높이는 과정과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발달장애 진단 및 증상의 평가 과정을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통합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조기 진단 및 조기 개입이 가능해 질병의 부담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고 김인향 교수는 전망했다.
김 교수는 “간소화된 기술 제공을 통해 세계적인 기술적 우위를 선점할 수 있고 개발한 기술을 통해 다른 발달장애 혹은 정신질환 극복을 위한 기술 개발로 확장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한양대병원은 지난해 7월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사업’의 선도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한양대병원은 신진 의사과학자 육성을 위해 젊은 임상의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기반 조성에 따른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 후생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양대병원, 김인향 교수, 자폐스펙트럼, 발달장애, DSM-5, 발달장애인, MRI, 뇌파검사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